teen.mk.co.kr

2024년 10월 03일 목요일

경제 공부 시사·경제 Cover Story

아빠 기름값도, 아이 과자값도…안 오른게 없네

`체감물가` 보여주는 생활물가 쌀·달걀·쇠고기·과일·교육비… 자주 사는 141개 품목 들어가 4%대 물가…2011년이후 최대 국제유가 급등이 가장 큰 원인 정부, 유류세 30% 인하로 대응 외식물가 13년만에 최고 수준 학원비·가전제품 줄줄이 올라 저소득층, 물가상승에 더 취약

소비자물가생활물가인플레이션
2022년 04월 08일 목록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설명[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Q. 생활물가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A. 먼저 소비자물가지수를 알아야 하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비중이 큰 460개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의 소비자 구입가격을 조사해 산정합니다. 이를 보완하는 지표가 생활물가지수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구성됩니다. 조사 대상은 쌀·달걀·배추·두부·쇠고기·소주 등 소득 증감에 관계없이 구매하는 기본생필품과 과일류·교육비처럼 가격 변동에 민감한 품목입니다. 구입 빈도가 수년에 걸쳐 소비되는 내구소비재(냉장고·세탁기)는 생활물가지수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물가와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7%, 4.1% 상승했습니다.

Q. 올 들어 생활물가는 왜 올랐나요.

 


A. 국제유가 급등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기름값 상승은 운송비 인상으로 이어지며 각종 생활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한 달간 약 30% 급등하면서 국내 생활물가 상승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4월 5일 기준 전국 휘발유는 ℓ당 1991원, 경유는 1912원입니다. 특히 휘발유보다 저렴한 경유값이 크게 올랐는데 이는 러시아가 전쟁으로 인해 경유 및 중간재 수출을 크게 줄였기 때문입니다. 국내 경유가격은 2008년(1932원)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식량의 주원료인 밀 가격도 전쟁과 이상기후, 자연재해, 코로나19로 인해 급등하고 있습니다. 세계 제2위 밀 수출국인 미국과 캐나다 중서부는 최근 가뭄이 발생해 작년 생산량의 40%까지 줄었습니다.

Q. 품목별 생활물가는 얼마나 올랐나요.

A.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 외식 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5%로 나타났습니다. 2009년 2월 5.6% 이후 12년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갈비탕(11.0%), 생선회(9.4%), 소고기(8.0%)의 상승폭이 제일 컸습니다. 일반 서민들이 자주 먹는 김밥(7.7%), 햄버거(7.6%), 설렁탕(7.5%), 라면(7.0%), 짜장면(6.9%), 치킨(6.3%), 삼겹살(5.9%), 돈가스(5.7%) 등의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맥도날드는 지난 2월 메뉴별로 200~300원 인상했습니다. 배스킨라빈스 '싱글 레귤러 사이즈' 가격은 3200원에서 3500원으로, '더블 레귤러 사이즈'는 6200원에서 6700원으로 올랐습니다.

농심은 이달부터 22개 과자 출고가를 평균 6% 인상했습니다. '새우깡'은 7.2%, '꿀꽈배기' '포스틱' '양파깡'은 6.3% 올랐습니다. 새우깡(90g)의 소매점 판매가는 1300원에서 1400원이 됐습니다. 빙그레의 '투게더' 소매점 판매가도 5500원에서 6000원, '메로나'는 800원에서 1000원이 됐습니다.

학원비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구몬학습은 물가와 원자재값, 인건비 상승 여파로 과목당 월 회비를 2000~3000원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의 한 유·초등생 영어학원은 주 5회, 5만원이던 셔틀버스 비용을 최대 8만원으로 올렸습니다.

가전제품은 철강, 레진, 구리 등 주요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구입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삼성전자 TV 평균 판매가는 전년 대비 32%, LG전자는 26.4% 상승했습니다. LG전자 24㎏ 용량 '트롬 드럼세탁기' 신제품은 190만3300원으로 기존보다 20만원 넘게 올랐습니다.

Q. 생활물가 상승으로 누가 더 힘들까요.

A.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큰 폭의 물가 상승을 체감합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18~2019년 대비 2020~2021년 체감물가 변화 폭을 조사한 결과 소득하위 20%가 2.7%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가장 소득이 높은 20%는 1.9%에 그쳤습니다. 한경연은 식료품·주거·보건 등 생필품 가격 인상 영향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1.4배 컸다고 설명했습니다. 용돈과 아르바이트가 주 수입원인 1020세대는 물가 상승 체감이 더 클 수 있습니다.



Q. 생활물가를 어떻게 잡을까요.

A. 정부는 주요 프랜차이즈의 외식 가격 변동 여부를 공시하는 '외식가격 공표제'를 지난 2월부터 시행 중입니다. 정부는 특히 5~7월 유류세 인하폭을 현재 20%에서 30%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인하율이 30%가 되면 휘발유는 인하율 20% 때보다 ℓ당 82원이 줄어들게 됩니다. 화물차 운전자와 소상공인 생계형 경유차 운전자에게는 유가연동 보조금을 3개월간 지급합니다. 물가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상승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