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4년 09월 16일 월요일
Q. 인플레이션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데요.
A. 인플레이션은 수요와 공급 요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형태의 인플레이션은 총수요 증가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입니다. 수요가 늘어 사람들이 물건을 더 많이 사니까 가격이 오르는 것이죠. 반대로 생산비용이 올라 총공급이 감소해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공급이 감소하면 시장에 나오는 물건이 희소해지므로 물가가 상승합니다.
Q. 스태그플레이션은 어떨 때 발생하나요.
A. 스태그플레이션은 공급에 충격이 오는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으로 발생합니다.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을 총수요·총공급 곡선으로 살펴보면 총수요곡선(AD)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형태입니다. 여기서는 물가가 상승(P0→P1)하지만 수요가 늘어난 만큼 생산량 역시 증가(Y0→Y1)해 전체 경제는 성장합니다. 한편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은 총공급곡선(AS)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형태입니다. 총공급이 감소하면 물가는 상승(P2→P3)하는데 생산량은 감소(Y2→Y3)해 경제가 후퇴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공급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 근로자 임금 상승, 자연재해, 전쟁, 인력 부족, 무역분쟁 등이 있습니다.
Q. 역사적으로 어떤 사례가 있었나요.
A.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사례로는 1970년대에 일어난 두 차례 석유파동이 있습니다. 1973년부터 약 1년간 지속된 제1차 석유파동은 제4차 중동전쟁으로 인해 6개 산유국이 동시에 석유 생산을 매월 5%씩 줄이고 원유 가격을 17% 올려 발생했습니다. 석유는 거의 모든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입니다. 여러 교통수단과 화력발전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비닐, 아스팔트 등 대부분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죠. 이런 석유의 공급을 줄이고 가격을 올리니 세계적으로 생산비용이 증가해 공급이 위축되고 물가는 뛰게 됩니다. 이에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 것이죠. 이 시기 전 세계 물가 상승률은 16.9%였습니다.
Q. 스태그플레이션은 어떻게 잡나요.
A. 정부는 총수요 관리정책을 통해 물가와 경기 국면을 조절합니다. 경기가 과열돼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총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물가 안정을 꾀하고,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는 총수요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기부양책을 펴는 것이죠. 그러나 물가가 높고 경기도 안 좋을 때는 이도 저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긴축정책을 쓰면 경기 침체가 심해져 소득이 줄고 실업률이 크게 높아집니다. 그렇다고 경기부양책을 펼치면 물가가 미친 듯이 오를 것입니다. 결국 총공급을 늘리는 게 궁극적인 해결책인데 이는 곧 노동인구나 생산 기술 등을 높여야 하는 만큼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렵습니다.
Q. 현재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뭔가요.
A. 2021년부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하락을 막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은 엄청난 양의 돈을 시중에 풀었습니다.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덕분에 수요는 빠르게 회복됐지만 생산과 물류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공급 부족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물가가 빠르게 올라갔습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부터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월 24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세계적인 생산비용이 증가했습니다. 러시아의 수출 품목인 에너지와 곡물이 서방의 제재 조치로 인해 판로가 막히자 대다수 국가에서 에너지와 곡물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Q. 전 세계 각국은 어떤 대응을 하고 있나요.
A. 뉴욕연방준비은행은 미국 경제가 빠르게 수축해 올해 4분기 성장률이 -0.6%에 달하고 경착륙 가능성이 80%에 이른다고 내다봤습니다. 세계은행은 최근 에너지 가격 인상 패턴이 1970년대 석유파동 당시와 유사하다며 스태그플레이션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은 화석연료 의존도가 낮은 데다 각국 통화정책의 신뢰성이 높아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은 우선 물가부터 잡겠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연준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습니다.
■ <용어 설명>
▷ 베이비스텝 :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조정(가장 일반적).
▷ 빅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
▷ 자이언트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
[김봉주 경제경영연구소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