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2월 05일 수요일

경제 공부

경제 공부 지붕이의 용어사전

구매자관리지수 / 낙수효과 / 그레셤의 법칙 / 왝 더 독

’Purchasing Managers’ Index.’ 제조업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제조업 분야 경기지표를 말한다.

▷ 구매자관리지수(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제조업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제조업 분야 경기지표를 말한다. 구매자관리지수(PMI)는 미국 구매관리자협회인 NAPM(National Association of Purchasing Management)이 매달 회원 약 300명에게 기업의 신규 주문, 생산, 재고 등을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해 수치화한 것으로, 제조업체 구매 담당자들이 현재와 향후 경제를 어떻게 보는지를 나타낸다. 구매자관리지수(PMI)는 0~100 사이 수치로 나타내는데, 이 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 확장과 경기 확장을, 50 미만이면 제조업 수축과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이 지수는 기업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선진국에서 널리 이용하고 있다.

▷ 낙수효과

 


고소득자, 대기업 등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통해 소비, 투자 확대로 경기가 개선되면 이로 인한 혜택이 저소득층과 중소기업에도 돌아간다는 효과를 말한다. 낙수효과는 피라미드처럼 컵을 쌓고 위에서부터 물을 부으면 제일 위에 있는 컵부터 흘러들어간 물이 다 찬 뒤에야 넘쳐서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가는 현상에서 유래한 이론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소득 불균형의 원인과 결과’라는 보고서에서 150여 개국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낙수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하위 계층 소득을 늘리고, 중산층 유지를 위한 정책이 경제성장에 더 효과적이라고 발표했다.

▷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

소재의 가치가 다른 화폐(금화와 은화)가 동일한 액면가격의 화폐로 유통될 때 소재의 가치가 큰 것은 사라지고 소재의 가치가 작은 것만이 유통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레셤의 법칙은 16세기 영국 재무관 T 그레셤이 제창한 화폐 유통에 관한 이론으로, 가치가 서로 다른 화폐가 동일한 가치로 유통될 때 가치가 작은 화폐 때문에 가치가 큰 화폐가 유통에서 배제된다는 법칙을 말한다.

▷ 왝 더 독(wag the dog)

원래 현물시장에서 파생된 선물시장이 오히려 원천 시장인 현물시장을 좌지우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에는 원자재 가격 급락으로 신흥국에서 발생한 경제위기가 선진국 경기를 끌어내릴 것을 염려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틴매경
구독 신청
매경TEST
시험접수
매테나
매경
취업스쿨
매일경제
경제경영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