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2월 05일 수요일

경제 공부

경제 공부 지붕이의 용어사전

[지붕이의 용어사전] 화폐주조세 / 에코플레이션 / 디폴트 등

에코플레이션은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말로, 기후변화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화폐주조세

화폐 발행에 독점권을 가진 정부가 화폐 발행으로 재원을 마련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정부가 재원 마련을 위해 화폐를 추가로 발행하면 시중에는 통화량이 늘어 물가가 상승한다. 예상치 못하게 물가가 상승하면 금융자산을 소유한 사람은 구매력이 감소하는데 구매력이 감소한 만큼 정부가 세금을 걷은 것과 같다고 해서 ’화폐주조세’라고 한다.
 

▷에코플레이션(Ecoflation)

에코플레이션은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말로, 기후변화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가뭄, 산불,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규모가 커지고, 발생 빈도도 잦아져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거나 생산설비를 운용하는 비용이 증가해 기업의 제품 원가가 상승했다.

▷디폴트

디폴트는 채무자가 빌린 돈을 정해진 기간 안에 갚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한 나라의 정부가 외국에서 빌려온 차관을 상환 기간 내에 갚지 못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해당 국가가 디폴트 상황이라고 채권자가 판단하게 되면,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이를 통보하는데 이것을 디폴트 선언이라고 한다. 디폴트가 선언될 경우 해당 국가에 대한 신규 자금 지원이 중단되며 해당 국가의 급여나 사회복지 재원 등을 지출할 수 없어 국가 혼란이 오게 된다.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

한 나라의 국민이 겪고 있는 경제적 고통의 정도를 의미한다. 경제고통지수는 한 나라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고통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미국의 경제학자인 오쿤이 고안한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더해 산출한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아지고 물가가 올라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경제고통지수는 소득증가율, 분배 상황, 경제 성장의 내용 등이 전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국민의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를 보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최병일 매경 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틴매경
구독 신청
매경TEST
시험접수
매테나
매경
취업스쿨
매일경제
경제경영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