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1월 20일 월요일
105인 사건 조작한 일본…독립운동 신민회를 공격하다
173
…신민회는 무엇 때문에 일어났는가. 국민 생활을 개혁할 새로운 사상이 시급히 필요하며, 우둔한 국민을 깨우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이 시급히 필요하고,…(중략)…부패한 정치를 일신할 새로운 개혁이 필요하다.…(중략)…이것이 신민회가 품고 있는 바이다. 요컨대 새로운 정신을 불러 깨우치고 새로운 단체를 조직해서 새로운 국가를 건설할 뿐이다.…- 신민회 결성 취지서
신민회는 어떤 활동을 했나요?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긴 상황에서 대한제국의 지식인들은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을 폭넓게 전개합니다.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으로 대한제국의 위기가 날로 고조됩니다. 1907년 결성된 신민회는 당시 가장 유명한 독립운동가들이 모두 참여한 비밀 결사 단체였습니다. 안창호, 양기탁, 이동휘, 신채호, 박은식, 이회영, 이시영, 이상재, 김구 등이 참여했습니다.
신민회는 민족 교육의 추진과 민족 산업의 육성에 큰 관심을 두었습니다. 애국심을 고취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곳곳에 많은 학교를 설립합니다.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평양), 이동휘의 보창학교(강화), 이승훈의 오산학교(정주) 등이 대표적입니다. 조선인 중심의 경제적 실력양성을 강조하여 평양자기주식회사 등을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신민회는 독립전쟁을 준비했습니다. 안창호는 '실력을 양성함에는 상당한 세월을 요하므로 그 실력이 생긴 때에 무력으로써 일을 도모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한일병합 직후 신민회 회원이었던 이회영은 당시 엄청난 재산을 다 정리하고 서간도로 이주하여 허름한 옥수수 창고에서 신흥강습소 개교식을 열었습니다. 중국과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무관학교'라는 명칭 대신에 강습소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습니다. 신흥(新興)강습소의 신흥은 '신(新)민회가 나라를 부흥(興)시킨다'는 의미였습니다. 훗날 신흥강습소는 신흥무관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지청천, 이범석, 김원봉, 나석주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양성하였고 3500여 명의 졸업생들이 서로군정서를 조직하거나 청산리전투를 비롯한 독립운동에 참여합니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