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가장 안전한 주식 투자 방법은?

허서윤 저자

입력 2025-03-24 09:11
목록

칼은 참 위험한 물건입니다.

칼을 쓰다가 자칫 잘못하면 손을 베일 수도 있고 여차하면 치명적인 상처를 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칼을 절대 쓰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요?

조심해서 잘 사용하면 요리도 할 수 있고, 종이도 자르고, 눈썹 정리하는 데 편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칼은 위험하지만 잘 사용하면 생활 속에서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어려서부터 주로 은행 예금이나 적금을 해왔다면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게 당연합니다.

그러나 “주식은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애초에 관심을 갖으면 안 돼”라는 말은

마치 “칼은 위험한 도구이기 때문에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는 말과 같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주식투자 위험 해체쇼!

 

주식 투자는 분명 위험합니다. 하지만 투자 종목이나 상품을 잘 골라서 알맞은 방법으로 접근하면 얼마든지 투자 위험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단 투자 위험도가 가장 낮은 종목을 알아보도록 하죠.

 

주식이건 펀드건 투자 위험은 크게 ‘시장위험'과 ‘개별위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장위험이란 말 그대로 시장 전체의 주가지수가 오르고 내리는 것에 따른 위험을 말합니다. 기업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주식 시장 자체가 폭락한다면 개별 종목이 나홀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시장위험은 증시에 발을 담근 순간 누구도 피할 수 없습니다.

 

개별위험은 증시가 대세 상승장에 접어들어서 시세판이 붉은색 화살표로 가득 차더라도 특정 종목 내부에 문제가 있다면 그 기업의 주가만 곤두박질칠 수 있는 위험을 말합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서로 다른 여러 종목에 나눠서 투자하면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위험이 바로 개별위험입니다. 개별위험은 분산투자를 통해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코스피200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종목을 지수와 똑같은 비중으로 그대로 매수한다면 개별위험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개별위험을 최대한 줄여서 시장위험만 남겨놓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주식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지수 투자 혹은 인덱스 투자라고 하고, 펀드 중에서 ‘인덱스 펀드'를 골라 투자를 하면 됩니다.

 

 

적립식 투자의 마법

 

주식투자 종목 중에서 개별위험을 없애는 가장 안전한 투자 상품은 ‘인덱스 펀드'라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안전한 투자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보통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그 투자는 대성공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탐욕과 공포'를 이겨내지 못하기 때문에 증시가 과열됐을 때 추격매수에 나서고 급락장의 공포 속에서 주식 손절매를 하는 실수를 반복합니다.

 

 

적립의 대표적 예시, 돼지 저금통.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평범한 개인투자자가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투자시스템으로 적립식 방식이 있습니다. 이미 우리에게 ‘적립식 펀드'라는 단어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일단 펀드나 삼성전자와 같은 투자 종목을 정한 후에 매달 일정한 날에 일정한 금액을 투자할 수 있도록 자동이체 시스템을 만들면 그걸로 끝! 주가가 떨어지면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고 주가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주식을 모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저절로 매수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투자 용어로는 ‘달러 코스트 에버리지'라고 부릅니다. 주식을 최대한 싸게 살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핵심 포인트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할 수 있는 펀드나 종목을 고르고, 주가가 떨어져도 속상해하거나 겁먹지 말고 정해진 날짜에 기계적으로 매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싸게 모아둔 주식이 나중에 증시가 반등을 했을 때 더 큰 수익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

 

 

 

달러 코스트 애버리지 (Dollar Cost Average)

가격 등락과 상관없이 일정 간격을 두고 특정한 포트폴리오에 계속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같은 금액을 투자하면 자산 가격이 높을 때는 적게 사고, 낮을 때는 더 많이 매입함으로써

매수단가를 평균가 이하로 낮출 수있습니다.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틴매경
구독 신청
매경TEST
시험접수
매테나
유튜브
매경
취업스쿨
매일경제
아카데미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