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1월 14일 화요일

경제 공부

경제 공부 시사·경제 Cover Story

시작이 반? 'AI작'은 반 이상!

2024년 11월 08일 목록
"요술램프처럼 인공지능(AI) 기능을 즐기는 학생의 모습을 그려줘"라는 요청에 챗GPT가 만든 그림. 챗GPT




"챗GPT가 없었을 땐, 어떻게 시작했었는지 모르겠어요."

시험 공부와 과제, 입시 준비 등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수많은 시작의 순간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 부담감과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 태어나면서부터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왔지만 막상 정보의 홍수 속에서 중요한 정보를 골라내고 구조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작의 부담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10·20대 최신 트렌드로 꼽히는 'AI작'은 AI와 시작의 합성어로, 시작의 순간 AI와 함께 틀을 잡고 그 가이드라인을 따라 자신만의 결과물을 완성해나간다는 의미입니다.

AI를 통한 시작의 편리함을 알아보기 위해 직접 대입 심층 면접을 준비해 봤습니다.

가정 먼저 챗GPT에 생활기록부 파일을 업로드하고 내용을 학습시킵니다. 이후 "나는 경영학과 지원자이고, 너는 내 생활기록부를 바탕으로 질문하는 입학사정관이야. 대입 면접을 진행해 줘"라고 상황을 설정하자 AI가 이에 맞는 질문을 시작합니다.



"좋습니다. 경영학과 입시 모의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 지원자님, 자기소개를 간단히 해주시겠어요? 그리고 경영학과에 지원하게 된 동기와 목표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세요"라며 실제 면접처럼 질문을 던집니다. 학생이 답변하면 AI가 내용을 분석한 후 "경영학의 특정 분야를 선택해 본인의 경험을 연결 지으면 더욱 설득력 있게 들릴 것입니다"라고 조언합니다.

나아가 "내용을 조금 더 다듬어 보았습니다. 아래의 수정된 버전을 참고해 보세요"라고 수정 답변까지 제공해 학생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음으로 생활기록부 기반 질문이 이어집니다. "지역 축제에서 참가자를 직접 인터뷰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셨는데, 지역 축제가 활성화되려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영화로 보는 자본주의'라는 제목으로 교내 게시물을 작성했다고 하셨는데, 어떤 내용으로 작성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배운 가치는 무엇인가요?" "마케팅 믹스를 활용해 프로야구팀의 스포츠 마케팅 전략을 분석했다고 하셨는데, 마케팅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등 생활기록부 내용과 최신 면접 데이터를 활용해 질문을 생성합니다.

최근에는 모의 면접을 통해 비언어적 요소까지 실시간 분석해주는 AI 서비스도 등장했습니다. 대입용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T'는 카메라를 통해 답변하는 학생의 표정, 목소리 크기나 높낮이, 시선 처리 같은 비언어적 요소까지 분석하고 면접 태도까지 평가해줍니다.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틴매경
구독 신청
매경TEST
시험접수
매테나
매경
취업스쿨
매일경제
경제경영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