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en.mk.co.kr

2025년 06월 25일 수요일

보이지 않는 믿음이 경제를 지탱해요

최병일 강원대학교 교수

입력 2025-05-12 09:09
목록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공상과학 영화와 같이 수만 년 전 동굴에 살던 원시인이 타임머신을 타고 지금 이 시대에 나타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하늘 높이 솟은 빌딩,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 스마트폰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사람들까지그에게는 모든 것이 마치 마법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특히 원시인은 사람들이 카트에 먹음직스러운 것들을 가득 담은 뒤 계산대에서 종이 몇 장이나 플라스틱 카드 한 장만 내밀고 물건을 들고나가는 모습을 본다면,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아니, 내가 일주일을 넘게 사냥하고, 채집해도 얻을 수 없는 먹거리를 받으면서 왜 그냥 종이를 주는 거지? 사냥도구나 그릇 같은 가치 있는 물건과 바꾸는 것도 아닌데…."

 

하지만 현대의 경제 시스템에 익숙한 우리에게 그 종이는 단순한 종잇조각이 아닌 화폐이며, 이 화폐가 가치를 지니는 이유는 사람들이 그 가치를 믿기 때문입니다.

 

 

 

 

GPT가 생성한신용(credit)' 관련 이미지.

 

오늘날 고도로 발전한 거래 시스템은 화폐뿐 아니라 신용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신용이란 쉽게 말해 "이 사람은 나중에 꼭 갚을 것이다"라는 믿음입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로 물건을 사는 것이 가능한 이유도 바로 이 신용 덕분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나는 빌린 돈을 갚지 않겠다"고 말한다면, 그 누구도 그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을 것입니다. 이처럼 신용이 없는 사람은 단순히 돈을 빌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래가 어렵고, 경제생활에도 큰 제약을 받게 됩니다.

 

우리가 매일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현금과 카드, 이 모든 것이 '신용'이라는 보이지 않는 약속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 신용이 사회에서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먼저, 은행은 더 이상 대출을 해주지 않을 것입니다. "이 사람이 과연 갚을까?"라는 신뢰가 없다면 누구도 돈을 빌려주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집을 구하거나 학비를 준비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마트나 가게에서도 "이 카드, 혹은 이 돈이 진짜인지 믿을 수 없어!"라며 그동안의 결제 수단을 거부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다시 물물교환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지도 모릅니다. 쌀 한 포대를 내가 만든 신발과 교환해야 한다면, 매우 비효율적이겠죠?

 

 

 

더 심각한 문제는 국가 수준에서 벌이는 큰 규모의 경제활동들이 마비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도로를 건설하거나 병원을 짓는 일처럼 큰 자금이 필요한 사업은 대부분 은행이나 투자자에게 돈을 빌려 진행됩니다.

 

하지만 신용이 없다면 자금 조달이 막히고, 모든 인프라스트럭처 사업과 기업 활동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결국 신용이 사라지면 사회 전체가 멈추고, 실업자가 늘고, 경제는 마치 엔진이 꺼진 자동차처럼 멈춰 서게 됩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처럼 신용은 개인뿐만이 아니라 국가 수준의 경제 주체에게도 꼭 필요한 보이지 않는 자산입니다. 구체적으로 국가가 왜 신용이 필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나라도 위기 상황에는 돈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정부는 병원을 짓고, 백신을 사고, 국민에게 긴급지원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그런데 국가가 항상 충분한 예산을 갖고 있는 건 아닙니다. 이럴 때 국가는 외국에서 돈을 빌리기도 하는데, 국가 신용등급이 그 기준이 됩니다. 이 신용등급은 "이 나라가 빌린 돈을 잘 갚을 수 있을까?"를 평가하는 점수입니다.

 

실제로 남아메리카의 베네수엘라는 한때 석유가 풍부한 부국이었지만, 정부의 잘못된 경제 운영으로 인해 국민의 신뢰를 잃었고, 국가신용등급도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그 결과 화폐 가치는 폭락했고, 빵 한 덩어리를 사기 위해 지폐 한 가방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사람들은 자국 화폐보다 외국 통화를 더 믿게 되었고, 경제는 마비 상태에 빠졌습니다. 우리나라도 1997년 외환위기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 외국인인 투자자들이 한국의 신용을 의심하며 대규모 자금을 회수했고, 그 여파로 환율이 급등하고 많은 기업이 줄줄이 파산했습니다. 이처럼 국가의 신용은 국민 개개인의 삶까지도 직접적으로 흔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신용등급이 높으면 외국에서 낮은 이자로 자금을 조달할 수 윘지만,

등급이 낮으면 투자자들이 외면하거나 고금리 조건을 내세우게 됩니다.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틴매경
구독 신청
매경TEST
시험접수
매테나
유튜브
매경
취업스쿨
매일경제
아카데미
인스타그램